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8

[포스코x코딩온] 풀스택 부트캠프 10주차 정리 -2 (2차 프로젝트 회고完) 12/ 28 얼추 이제 끝난 것 같다. 그래서 중간점검을 하면서 백엔드나 프론트엔드에서 버그가 생기는지를 머지 후 확인하기로 했다. 백엔드의 경우 에러가 날 경우 멈추지만, 프론트의 경우 HTML의 특성상 그냥 무시하고 진행하기 때문에 치명적인 에러가 아니라면 드러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프론트쪽에서 더 유심히 봐야했다. 나는 디자인적으로 사소한 변화를 눈치채지 못했지만 다들 눈치 채셔서 되게 대단했다. - 다른 폴더에서 작업을 하시다가 모든 페이지를 합쳤기 때문에 경로 문제가 발생했다. 다만 내가 404에러 핸들러를 미들웨어로 마지막에 설정해놨기 때문에 오류 메세지가 뜨지 않았다. 그래서 프론트 콘솔에서 404에러가 뜬 경우 에러 핸들러를 해제하고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 axios같은 경우는 .. 2023. 12. 30.
[포스코x코딩온] 풀스택 부트캠프 10주차 정리 -1 (2차 프로젝트 회고) 12/ 26 분명히 파일을 건들지 않았는데도 이상한 부분에서 깃허브가 충돌이 난다. 공백 같은 것이 충돌이 나면 상관 없는데 충돌이 일어나지 않았음에도 갑자기 중복되어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는 것 같다. 다만 충돌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html에 2023. 12. 27.
[포스코x코딩온] 풀스택 부트캠프 9주차 정리 -1 (2차 프로젝트 회고) 12/19 1. 막 로그인 했을때는 로그인 상태인데 새로고침을 하면 로그인이 풀리는 오류가 발생했다. 알고보니 이는 내가 미들웨어에 대해서 잘 이해하지 못하고 로직을 짠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미들웨어는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들어오면 app.js 순서상으로 한번 거치는 로직이라고 생각하면 될 듯하다. (이마저도 개인의 추측이라 틀릴 수도 있다.) 내가 짰던 미들웨어는 res.locals를 로그인을 할 때만 반환하게 짜서 로그인을 한 순간에만 생기고 이후에는 res.locals로 프론트측에 주지 않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사라진 것이라고 예상했고 그게 맞았다. 즉 클라이언트에서 로그인 이후 index페이지 요청을 하면 먼저 미들웨어에서 aceesstoken 발급을 하면서 res로 토큰 반환을 해주고 이를 토대.. 2023. 12. 21.
[포스코x코딩온] 풀스택 부트캠프 8주차 정리 -2 (2차 프로젝트 회고) 프로젝트 주제 : 40~60대를 위한 모바일, 컴퓨터 사용 설명서 12/ 15 회원가입, 로그인, 등의 user 정보 측의 백엔드를 맡았다. database 의 테이블 구조는 user : 게시글 : comment 1 : N : N으로 잡았다. EC2에 sequelize를 설치해서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기까지는 쉽게 성공했으나 MySQL workbench에 EC2의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는데는 실패했다. 그 이유를 알아보니 1. 접근 권한이 없었고 2. mysql workbench에서는 ec2 서버에 접근할때 쓰던 ppk 형식의 파일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래서 구글링을 통해 서버 mysql의 config를 수정하고 새로운 RSA를 발급받아서 접속에 성공했다. 이후 외래키를 설정할 때 관계 설정이 잘 되지.. 2023. 12. 18.
[포스코x코딩온] 풀스택 부트캠프 8주차 정리 -1 (비밀번호 암호화, socket) 비밀번호 암호화 비밀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바로 저장해놓으면 해킹의 위험이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사람이 멋대로 고객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그래서 비밀번호를 암호화해서 저장하는 것이 정배다. 단방향 암호화 복호화가 불가능하다. 그래서 비교할 때 암호화된 값을 통해서 비교한다. 서로 다른 데이터에 대해서도 같은 해시 값이 나올 수 있다. (해시 값 충돌) Hash 방식이 있다. Hash: 해시 함수에 의해 얻어지는 값으로 임의의 크기의 데이터를 (레인보우 테이블을 방지하기 위해 salt나 iteration을 활용해도 됨) 고정된 크기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양방향 암호화 복호화가 가능하다. 대칭키, 공개키 방식이 있다. 데이터의 기밀성을 유지하거나 안전한 통신을 위해 사용한다. 대칭키: 암호화와 복호화에.. 2023. 12. 13.
[포스코x코딩온] 풀스택 부트캠프 7주차 정리 2 - Cookie, Session, dotenv, aws, 서버구축, jwt Cookie 웹 브라우저에 저장되는 key value 쌍의 데이터파일. (key, value, 만료일, 경로정보)로 구성됨 쿠키의 동작 방식 1. 클라이언트가 페이지 요청 2. 서버에서 쿠키 생성해서 HTTP 헤더에 쿠키 포함시켜 응답 (쿠키 만료기간이 있으면 브라우저 닫혀도 사라지지 않음) 3. 클라이언트가 같은 요청을 할 경우 HTTP헤더에 쿠키를 같이 보냄 (요청 + 나 네가 쿠키 준 그 사용자다 어필.) 4. 서버에서 쿠키를 읽어 이전 상태 정보를 변경 할 필요가 있을 때 쿠키를 업데이트 해서 변경된 쿠키를 HTTP헤더에 포함시켜 응답 그냥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게 뿌려주는 데이터 조각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app.js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 2023. 12. 9.